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은 콩고 민주 공화국의 국가 원수이다. 1960년 콩고 공화국 독립 이후 조제프 카사부부가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모부투 세세 세코, 로랑데지레 카빌라, 조제프 카빌라를 거쳐 2019년 1월 24일부터 펠릭스 치세케디가 현재까지 재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 - 콩고 민주 공화국 비밀정보국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 모부투 세세 세코
모부투 세세 세코는 쿠데타로 콩고민주공화국(자이르 공화국)을 1965년부터 1997년까지 통치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일당 독재 체제 구축, 모부투주의를 통한 개인숭배 조장, 부정부패와 인권 탄압을 자행했으며, 냉전 시대 서방의 지원으로 장기 집권했으나 1990년대 실각 후 망명지에서 사망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 로랑데지레 카빌라
로랑데지레 카빌라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1960년대 초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콩고 인민혁명당을 결성하고, 제1차 콩고 내전을 통해 대통령에 취임했으나 2001년 암살당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대통령 |
원어 이름 |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
대통령 문장 | Presidential Seal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svg |
대통령기 | Flag of the President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svg |
현직 | 페릭스 치세케디 (7대) |
현직 취임일 | 2019년 1월 24일 |
스타일 | 원수 |
관저 | 국민궁전 |
임기 | 5년 (3선 금지) |
헌법 | 콩고 민주 공화국 헌법 |
설립일 | 1960년 7월 1일 |
웹사이트 | https://presidence.cd/ |
정치 | |
선출 방식 | 직접 선거 |
대리 | 상원 의장 (모데스테 바하티 루크웨보) |
역대 대통령 | |
초대 대통령 | 조제프 카사부부 |
이전 직함 | |
이전 국가 |
2. 역사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직은 1960년 독립 이후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 조제프 카사부부: 1960년 7월 1일부터 1965년 11월 24일까지 콩고인 동맹 소속으로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1]
- 모부투 세세 세코: 1965년 쿠데타로 집권하여 1997년까지 장기 집권했다. 초기에는 군부 소속이었으나, 이후 혁명대중운동을 창당했다.[1][2]
- 로랑데지레 카빌라: 1997년 제1차 콩고 전쟁으로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대통령이 되었으나, 2001년 암살되었다.[3]
- 조제프 카빌라: 아버지 로랑데지레 카빌라의 뒤를 이어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2019년까지 재임했다. 초기에는 무소속이었으나, 이후 재건민주인민당 소속이 되었다.[3]
- 펠릭스 치세케디: 2019년부터 민주사회진보연합 소속으로 현재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콩고 민주 공화국은 국명이 콩고 공화국 (레오폴드빌)에서 자이르 공화국으로, 다시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변경되는 등 정치적 격변을 겪었다.
2. 1. 콩고 공화국 (레오폴드빌) (1960년–1971년)
대 | 사진 |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정당 |
---|---|---|---|---|---|
1 | ![]() | 조제프 카사부부 | 1960년 7월 1일 | 1965년 11월 25일 | 콩고인 동맹 |
2 | ![]() | 모부투 세세 세코 | 1965년 11월 24일 | 1971년 10월 27일 | 군인 / 혁명대중운동 |
조제프 카사부부는 1960년 7월 1일 콩고인 동맹 소속으로 콩고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나, 1965년 11월 25일 모부투 세세 세코의 쿠데타로 실각했다.[1] 모부투 세세 세코는 1965년 11월 24일부터 1971년 10월 27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2. 2. 루뭄바파 콩고 공화국 (1961년)
1961년 콩고 내전에서 앙투안 기젱가가 스탠리빌 주의 독립을 선언하고 총리에 취임했으나, 1961년 3월 31일부터 1961년 8월 5일까지로 단기간에 그쳤다.[1]2. 3. 자이르 공화국 (1971년–1997년)
1970년[2], 1977년, 1984년에 대통령으로 선출된 모부투 세세 세코는 자이르화 정책에 따라 1971년 10월 27일 국명을 자이르 공화국으로 변경하였다.[2] 1972년 1월 10일에는 자신의 이름도 조제프데지레 모부투에서 모부투 세세 세코로 고쳤다. 모부투는 혁명대중운동 소속으로 장기 집권했으나, 제1차 콩고 전쟁으로 1997년 5월 16일 실각했다.[3]
2. 4. 콩고 민주 공화국 (1997년–현재)
1997년 로랑데지레 카빌라가 정권을 잡고 국명을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변경했다.[3] 그러나 2001년 1월 16일 암살되었다.[3] 이후 아들인 조제프 카빌라가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2001년 1월 17일부터 2019년 1월 24일까지 재임했다. 조제프 카빌라는 2001년 1월 17일부터 1월 26일까지는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다. 2019년 1월 24일 펠릭스 치세케디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대 | 사진 |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정당 |
---|---|---|---|---|---|
3 | ![]() | 로랑데지레 카빌라 | 1997년 5월 17일 | 2001년 1월 16일 | 무소속 |
조제프 카빌라 대통령 권한대행(2001년 1월 17일-1월 26일) | |||||
4 | ![]() | 조제프 카빌라 | 2001년 1월 26일 | 2019년 1월 24일 | 무소속 / 재건민주인민당 |
5 | ![]() | 펠릭스 치세케디 | 2019년 1월 24일 | 현재 | 민주사회진보연합 |
[1]
뉴스
DR Congo election: President Felix Tshisekedi declared landslide winner
https://www.bbc.co.u[...]
2023-12-31
3. 역대 대통령 목록
대 사진 이름 임기 정당 콩고 공화국 대통령 (1960–1971) 1 조제프 카사부부 1960년 7월 1일 1965년 11월 25일 콩고인 동맹 2 모부투 세세 세코 1965년 11월 24일 1971년 10월 27일 군인 / 혁명대중운동 자이르 공화국 대통령 (1971–1997) 2 모부투 세세 세코 1971년 10월 27일 1997년 5월 16일 혁명대중운동 콩고 민주 공화국 대통령 (1997-현재) 3 로랑데지레 카빌라 1997년 5월 17일 2001년 1월 16일 콩고자이르 해방 민주군 연합 / 무소속 조제프 카빌라 대통령 권한대행 (2001년 1월 17일-1월 26일) 4 조제프 카빌라 2001년 1월 26일 2019년 1월 24일 무소속 / 재건민주인민당 5 펠릭스 치세케디 2019년 1월 24일 현재 민주사회진보연합
참조
[2]
뉴스
Congo Changes Name To the Zaire Republic
https://www.nytimes.[...]
1971-10-28
[3]
뉴스
MOBUTU GIVES UP, LEAVING KINSHASA AND CEDING POWER
https://www.nytimes.[...]
1997-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